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정보

로더운전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과목 정보 파악하고 공부해요

by 자격증마스터연우 2023. 10. 20.
반응형
로더운전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과목 정보 파악하고 공부해요

반갑습니다 여러분!

 

오늘은 로더 혹은 로우더라고 불리는 기계를 운전하고, 작업 능률을 고려했을 때 안전 운행, 정비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 기술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제정된 로더운전기능사 자격증 시험을 주제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로우더는 건설현장에서는 토사, 자갈 등을 트럭에 적재하는데, 활용되기 때문에 건설 현장에서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며, 사람의 힘으로는 오래 걸리는 일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을 요구됩니다. 때문에 로러 운전 기술을 익히고 싶고, 해당 기능사 자격증에 도전하는 분들이 늘고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해당 기능사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께서는 필기시험과 실기 시험을 어떻게 대비할 수 있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계신데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을 통해 로더운전기능사 시험과목부터 출제기준과 합격률 등을 확인해 보면서, 앞으로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는 글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출처 : q-net / 필기 시험 합격률

로더운전기능사 필기 / 시험 과목/ 출제 기준/ 합격률

우선 필기시험 과목부터 확인을 해보면, '건설기계기관, 전기 및 작업 장치, 유압일반, 건설기계관리법규 및 도로통행방법, 안전관리'로 구분이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시험 검정 방식은 객관식으로 4지 택일형 방식인데요.

 

필기시험 문제는 60문항을 60분동안 풀어야 하는 시험이며, 100점 중에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필기 시험 합격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필기 시험 자체를 처음 공부하시는 분들의 경우에는 어디서 부터 공부를 해야할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런 경우라면, 큐넷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출제 기준을 확인하고, 공부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간단하게 필기 시험 출제 기준 주요 항목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건설기계 기관 장치, 건설기계 전기 장치, 건설기계 섀시장치, 로더 작업장치, 유압일반, 건설기계 관리법규, 안전관리'로 분류되어 있으니 참고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필기시험의 합격률을 살펴보면, 전체 필기 시험 합격률은 56.1%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2년도에는 6,784명이 응시하여, 5,780명이 합격한 85.2%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출처 : q-net / 실기 시험 합격률

로더운전기능사 실기 / 시험 과목 / 출제 기준 / 합격률

실기 시험 과목은 '로더운전 작업'으로 약 3분간 작업형 방식으로 진행이 되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기 시험은 로더 운전을 통해 건설재료를 이동하고, 재료를 적재, 소운반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로더운전 전후 및 운전 중에 장비를 점검하는 걸  시작으로 로더를 안전하게 조종하여 작업하고, 주행할 수 있는지 등을 평가하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기 시험의 출제 기준 주요 항목을 보면, '운전 전 점검, 장비 시운전, 장비 이동, 상차(적재), 소운반, 평탄작업, 안전 환경 관리, 작업 후 점검'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실기 시험의 합격률을 보면, 전체 실기 시험의 합격률은 53.9%를 확인할 수 있으며, 7,937명이 응시하여 3,878명이 합격한 48.9%를 기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로더운전기능사 진로 및 전망

먼저 해당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한다면, 로더 운전에 있어서 어느 정도 기술을 갖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건설 업체 이외에도 광산, 항만, 등의 산업체로 진로를 결정할 수 있으며, 건설기계 대여 업체에 종사할 수 있습니다.

 

로더 운전 분야는 건설 경기의 흐름에 따라 전망이 달라질 수 있지만, 한편으로 매년 증가하는 응시자 수를 봤을 때 충분히 전망이 밝은 편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 국내 건설 현장뿐만 아니라 해외 건설 현장으로 파견을 나갈 수 있으며, 건설 기업 입장에서도 국내에서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