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정보

표면처리기능사 필기 실기 내용 정리

by 자격증마스터연우 2023. 11. 17.
반응형
표면처리기능사 필기 실기 내용 정리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표면처리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해보려고 합니다. 해당 자격증은 도금의 원리를 이해하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제정된 자격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표면처리 분야로 진로를 결정하고 싶으신 분들의 경우에는 해당 자격증을 취득하고 싶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해당 분야를 처음 공부하시는 분들의 경우라면, 어떻게 시험을 대비해야 할지 고민이 될 수 있습니다.

표면처리기능사 이미지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표면처리기능사 시험을 분석해 보면서, 전반적인 시험 흐름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표면처리기능사 필기시험 과목 

먼저 필기시험 과목을 확인해 보면, '금속재료 일반, 전기도금, 특수도금'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 과목 혼합식으로 객관식으로 60문항을 60분씩 풀어야 하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필기시험의 출제 기준을 봤을 때 주요 항목은 전처리 작업에 대한 문제가 출제가 되고, 도금 작업이나, 치구 제작 등에 대해서 문제가 나온다고 할 수 있어요. 그리고 제품을 검사하면서 합금의 함량을 분석하고 자료를 분석하는 등의 내용이 출제가 되곤 하죠.

 

그래서 만약 필기시험을 처음 준비하시는 분들이라면,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할지 감을 잡기 어렵다면, 출제기준을 먼저 확인하고, 기출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연도 필기 응시자 수 필기 합격자 수 필기 합격률 
2022년 128 31 24.2%
2021년 109 29 26.6%
2020년 106 31 29.2%
2019년 159 41 25.8%

표면처리기능사 필기 합격률

다음으로 필기시험 합격률을 확인해 보면, 전반적으로 상당히 낮은 합격률을 기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22년도에는 128명이 응시하여 31명이 합격한 24.2%의 수치를 기록하고 있죠.

 

합격률도 낮은 편에 속하지만, 또 한편으로 응시 인원은 기능사 시험이기 때문에 시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나사 이미지

표면처리기능사 실기시험 과목 정보

실기시험 과목을  살펴보면, '표면처리'이며, 약 3시간 30분 동안 작업형으로 진행이 되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합격 기준은 필기시험과 동일하게 100점을 만점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으로 인정받을 수 있죠.

 

실기 시험의 출제 기준을 보면, 전처리 작업 금속 제품이나, 비금속 제품 등을 도금하는 작업하고, 관리 및 마무리까지 하는 등으로 진행이 된다고 할 수 있죠.

 

그래서 실기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께서는 실기시험을 대비할 때 꼼꼼하게 연습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연도 실기 응시자 수 실기 합격자 수 실기 시험 합격률
2022년 39 39 100%
2021년 48 45 93.8%
2020년 45 38 84.4%
2019년 129 121 93.8%

표면처리기능사 실기 합격률

실기 시험 합격률을 보면, 2022년도에는 39명 응시했으며, 39명이 합격한 100%의 합격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물론 응시지원이 적다는 점도 있지만, 그럼에도 필기시험에 합격한다면, 충분히 실기시험을 준비하고 합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죠.

 

도금된 제품 이미지

표면처리기능사 _ 글을 마치며

여기까지 표면처리기능사 자격증 시험에 대한 이야기를 해봤는데요. 도면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되기 때문에 취득하고 싶은 분들이 계실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을 통해 시험 준비에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비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자격증 관련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