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정보

측량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정보 및 합격률 확인하자

by 자격증마스터연우 2023. 12. 2.
반응형
측량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정보 및 합격률 확인하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시간에는 측량기능사 시험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해당 자격증 시험은 국토의 이용, 개발, 건설 공사를 진행할 때 측량 업무를 수행하고, 결과와 성과 등을 작성하는 일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사의 방향성을 정하기 위해는 토목 공사, 건설 공사 등에서 측량 기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측량 업무를 할 수 있는 기능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당 기능사 자격증이 제정된 것이죠.

 

그래서 앞으로 측량기능사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고 싶으신 분들께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당 자격증 시험을 분석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측량기능사 이미지

측량기능사 필기시험 과목

먼저 필기시험 과목은 '측량학, 응용 측량'이며, 객관식으로 4지 택일형 방식으로 60문항으로 60분 동안 진행이 되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해당 자격증 시험의 필기은 60~70%가 계산형 문제로 출제가 된다고 할 수 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필기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공학용 계산기를 반드시 가지고 시험장에 들어가야 합니다. 그리고 필기시험의 출제 기준 주요 항목을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측량이론, 수준 측량, 다각 측량, 삼각측량, 지형 측량, 면적 및 체적의 계산, 노선 측량, GNSS측량'으로 구분이 되어 있으니 해당 기능사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께서는 참고하여 필기시험을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도 필기 시험 응시자 수 필기 시험 합격자 수 필기 시험 합격률
2022년 2,167 1,002 46.2%
2021년 2,196 999 45.5%
2020년 1,772 753 42.5%
2019년 2,314 1,002 43.3%

측량기능사 필기 합격률

먼저 필기 시험의 합격률을 확인해 보면, 2022년도에는 2,167명이 응시하여 1,002명이 합격한 46.2%의 수치를 기록하고 있는데요.

 

이는 과반수 미만의 합격률 수치이기 때문에 결코 쉬운 시험이라고 할 수 없으며, 제대로 준비하지 않는다면, 필기시험부터 준비하는 게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수치입니다. 그래서 필기시험부터 준비하시는 분들은 기출문제를 통해 문제유형을 파악하고 공부를 하는 것이 조금 더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측량하는 이미지

측량기능사 실기 시험 과목

다음으로 실기 시험 과목을 보면, '측량작업'으로 약 1시간 30분 동안 작업형으로 진행이 되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기 시험은 측량기기를 설치하는 것을 시작으로 관측하고, 관측된 결과를 작성 및 점검, 계산 등을 할 수 있어야 하죠.

 

그리고 21년도부터 평판 측량이 사라지게 되면서, 레벨 측량과 TS측량으로 진행이 된다는 점을 참고하여 준비한다면, 충분히 실기 시험을 대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연도 실기 시험 응시자 수 실기 시험 합격자 수 실기 시험 합격률
2022년 2,204 1,610 73%
2021년 2,324 1,684 72.5%
2020년 1,960 1,596 81.4%
2019년 2,349 1,970 83.9%

측량기능사 실기 합격률

마지막으로 실기 시험의 합격률을 보면, 2022년도에는 2,204명이 응시하여 1,610명이 합격한 73%를 기록하고 있으며, 21년도 이후 조금은 합격률이 감소했지만, 그럼에도 상당히 높은 합격률을 기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기능사 실기 시험을 준비할 때는 어렵게 공부를 하는 것보다 Q-net 홈페이지에 공개문제를 확인할 수 있으니, 한번 참고하여 실기 시험을 준비한다면, 조금 더 수월하게 대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측량 도구 이미지

측량기능사 _ 글을 마치면서

지금까지 측량기능사 시험에 대한 이야기를 해봤는데요. 앞으로 해당 기능사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께서 시험을 준비하기 전에 알아두고 시험을 대비하셨으면 하는 마음으로 정리를 해봤습니다.

 

물론 처음에는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할지 고민이 될 수 있고, 시험의 난이도, 과목 등을 파악하는 게  쉽지 않을 거라고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을 통해 궁금했던 점들을 한눈에 파악하고, 앞으로 시험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정리해 봤으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