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정보

가구제작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전망 정보

by 자격증마스터연우 2023. 10. 11.
반응형
가구제작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정보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시간에는 가구를 제작에 있어서, 자동화 공정 업무를 통해 가구를 제작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제정된 '가구제작기능사' 자격증 시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해당 기능사 자격증은 목재, 금속,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자재와 부속품을 가공 및 조립을 할 수 있어야 하며, 조립 도면과 시방서에 따라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는데요.

가구제작기능사

때문에 해당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여, 가구제작 분야에 진출하기를 희망하시는 분들께서는 해당 기능사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고 싶을 것입니다. 하지만 바로 자격증 공부를 시작하는 것보다, 자격증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시작하는 게 중요할 것 같은데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당 기능사 자격증 시험에 대한 시험 과목, 합격률, 출제 기준, 방식 등을 정리해 보면서, 앞으로 시험을 준비하고 싶으신 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는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Q-NET / 필기 시험 합격률

가구제작기능사 필기

먼저 필기시험 과목부터 살펴보면, '가구제도, 가구재료, 가구공작'으로 총 3과목으로 구분이 되어 있으며, 객관식 4지 택일형 방식으로 문제가 출제가 되고 있는데요.

 

그리고 총 60문항을 60분 동안 문제를 풀어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는다면 필기시험의 합격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본인이 해당 기능사 필기시험을 처음 공부하는 경우라면, 필기시험의 출제 기준 주요 항목을 먼저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하며, 다음과 같은 출제 기준을 확인할 수 있죠.

 

'가구 설계, 가구재료 수립, 가구제작 작업 안전관리, 가구제작 작업준비, 가구 하드웨어 작업, 짜임과 이음작업, 가구 가공작업, 가구 세공작업, CNC 가공작업, 가구 연마작업, 가구 도장작업, 가구 조립작업'으로 주요 항목이 구분이 되어 있으니, 시험을 처음 공부하시는 분은 참고해 주세요

 

다음으로 필기시험의 합격률을 전체 평균 합격률은 57%이며, 2022년도에는 75.1%를 기록하고 있으며, 1,191명 중에서 894명이 합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Q-NET / 실기 시험 합격률

가구제작기능사 실기

실기 시험 과목은 '가구제작작업'으로 약 5시간 동안 작업형으로 진행이 되는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받으면 합격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실기 시험은 설계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제작자가 부자재도면, 생산도면을 제도 규격에 맞춰 규격과 형태를 확인하는 것을 시작으로 원자재, 부자재 특성을 인지하고 용도별에 따라 재료를 준비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등의 업무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죠.

 

그리고 실기 시험의 출제 기준 주요 항목은 Q-NET 홈페이지에서 자세하게 확인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세부항목, 세세 항목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때문에 시험을 공부하기 전에 한번쯤 출제 기준을 확인하고 공부한다면 분명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음으로 실기 시험의 합격률을 확인해 보면, 전체 평균 합격률은 75%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2년도에는 45.6%의 수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950명이 실기 시험을 응시하고 433명이 합격한 수치라고 할 수 있죠.

가구제작의 실용적인 측면과 예술적인 측면

가구제작기능사 전망

만약 해당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게 된다면, 목재가구 제조업체, 금속가구 제작 업체, 등 가구 제작에 관한 업체뿐만 아니라 원자재, 부자재를 가공하고 제조, 조립하는 업체로도 진출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인테리어 업체, 가구 수리 업체로도 진출이 가능하죠.

 

심지어 전통가구를 제작하는 업체로 진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구 제작에 관심을 가진 분들께서 도전하는 자격증 시험이하고 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현재는 내수 시장의 가구 소비가 감소하고 있지만, 한편으로 고급화된 가구를 소비하는 추세는 증가하고 있으며, 전통가구는 예술품, 장식품의 가치가 있어 많은 소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앞으로의 가구제작 분야는 실용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공예품적인 성향을 띠고 있다면 분명 많은 소비는 증가하게 될 것이며, 경기에 따라 소비가 감소했지만, 전문 숙련가의 수요는 유지될 전망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