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정보

가스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전망에 대해 알아보자

by 자격증마스터연우 2023. 10. 11.
반응형
가스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전망에 대해 알아보자

반갑습니다 여러분!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압가스를 제조하고 저장,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공급시설이나 제조, 수리 시설을 시공하고 조작 및 검사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숙련된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제정된 '가스기능사' 자격증 시험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가스기능사

해당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게 된다면 가스 관련 업체로 진출할 수 있으며, 기능사 시험보다 상위 시험까지 응시할 수 있는 응시 자격을 갖출 수 있기 때문에 이미 많은 분들이 도전하고 있는 시험인데요.

 

하지만, 문제는 가스 분야를 제대로 알고 있는 분들도 적은 편이며, 시험을 준비하고 싶어도 시험 과목, 합격률, 출제 기준 등을 파악하지 않아,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할지 고민되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와 같은 시험 정보를 알기 쉽게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출처 : Q-net / 필기 시험 합격률

가스기능사 필기

먼저 가스기능사 필기 시험 과목부터 확인해 보면, '가스안전관리, 가스장치 및 기기, 가스 일반'으로 총 3과목으로 구분이 되어 있으며, 전 과목 혼합, 객관식으로 60문제가 출제가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시험 시간은 약 60분동안 문제를 풀어야 하며, 100점을 만점으로 하며 평균 60점 이상을 받아야, 필기시험 합격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필기 시험의 출제 기준 세부 항목을 확인해 보면, '가스의 성질, 가스제조 공금 및 충전, 가스저장 및 사용 시설, 고압 특정설비, 가스용품, 냉동기, 히트 펌프, 용기 등의 제조 및 검사, 가스 운반, 취급, 가스 화재 및 폭발예방, 가스 장치, 저온장치, 가스 설비, 가스계측기, 가스의  기초, 가스의 연소, 가스의 성질, 제조 방법 및 용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만약 본인이 해당 기능사 시험을 처음 공부하는 경우라면, q-net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출제 기준을 다운로드하여 확인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공부의 방향성을 잡을 수 있으니, 꼭 시험 전에 참고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그리고 필기 시험의 합격률을 살펴보면, 전체 평균 합격률은 29.9%를 보여주고 있으며, 2022년도에는 11,955명이 응시하여 3,986명이 합격한 33.3%의 합격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출처 : Q-net / 실기 시험 합격률

가스기능사 실기

다음으로 가스기능사 실기 시험 과목을 확인해 보면, '가스 실무'로 복합형 방식으로 시험이 진행이 되며, 필답형 1시간, 동영상 1시간으로 시험이 진행이 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실기 시험은 가스 제조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기술을 토대로 여러 가스 장치를 운용하고 다룰 수 있는지 등을 평가하는 걸 시작으로 가스 설비, 운전, 저장 및 공급 등의 가스장치의 유지 관리를 할 수 있어야 하며 안전관리와 검사 업무까지 할 수 있는지 등을 평가하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기 시험의 출제 기준 세부항목을 보면, '가스장치 운용하기, 가스 설비 작업하기, 가스 제어 및 계측기기 운용하기, 가스안전 관리, 가스시설 안전검사 수행하기'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실기 시험의 합격률을 보면, 전체 평균 실기 합격률은 27.9%이며, 2022년도에는 5,984명이 응시하여 2,049명이 합격하여 34.2%의 합격률 수치를 확인할 수 있죠.

가스기능사 시험

가스기능사 전망

해당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게 되었을 때 고압가스 제조, 저장, 등의 업체로 진출이 가능하며, 도시가스, 용기제조, 냉동기계제조, 등 고압가스를 다루는 업체로 진로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 국민은 가스를 통해 다양한 에너지를 얻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일상 생활을 하고, 공장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물론 자연에너지도 계속해서 개발이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가스 소비는 꾸준하고, 이에 따른 숙련된 기술 인력도 필요로 하고 있죠.

 

더 나아가 공장은 운영하는데 있어서 가스 사용량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가스 분야의 전망은 상당히 밝은 편이며,  전문 인력의 수요도 같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