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형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과목 및 정보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시간에는 금형 산업 분야에서 더욱 정밀하고 확장된 범위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 기술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제정된 금형기능사 자격증 시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해당 자격증을 취득하고 전문 기술인력으로 인정받으면 재료의 소성, 유동성을 이해하여 제품을 생산할 때 필요한 금형을 제작하는 일을 하는데요.
도면을 분석하고, 재료의 성질을 파악하는 걸 시작으로 사용자가 요구한 내용을 반영하여 범용기계 및 자동화 기계를 통해 금형을 제작하는 직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금형 산업으로 진로를 결정하신 분들은 해당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공부를 시작하는데요.
다만 시험을 처음 공부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공부를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금형기능사 시험에 대한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면서, 앞으로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는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금형기능사 필기 시험과목 / 출제 기준 / 합격률
금형기능사 시험과목은 필기와 실기로 구분이 되어 있는데, 우선 필기시험 과목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금형제작법 및 안전관리, 금형재료 및 요소, 기계제도(절삭부분)'으로 구분이 되어 있는데요. 시험은 객관식 4지 택일형 방식으로 진행이 되고, 60분 동안 60문제를 풀어야 하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험에 합격하기 위한 조건은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을 받는다면, 합격으로 인정되는데요. 그래서 정말 어려운 문제는 과감하게 포기하고 확실하게 60점 이상을 목표로 시험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것이죠.
다음으로 필기 시험의 출제 기준 주요 항목을 확인해 보면, '사출 제품도 분석, 사출금형 조립도 설계, 사출금형 부품도 설계, 사출금형제작 도면해독, 프레스금형 기초 제품도 분석, 프레스그혐 기초 전단 가공설계, 프레스금형 기초 성형 가공 설계, 프레스 금형 기 프로그레시브설계, 등'으로 구분되어 있는데요.
만약 자신이 필기 시험 공부가 처음이고, 큐넷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출제 기준을 확인해 보고 공부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아무래도 위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필기시험의 전체 합격률은 34.7% 정도이며, 2022년도에는 377명이 시험에 응시하여 117명이 합격한 31%의 합격률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상당한 난이도를 자랑하는 시험이기 때문이죠.
금형기능사 실기 시험 과목 / 출제 기준/ 합격률
다음으로 실기 시험 과목을 보면, '금형제작 작업'이며, 약 4시간동안 작업형으로 진행이 되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기 시험의 합격 기준도 필기시험과 똑같이 100점 중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으로 인정됩니다.
실기 시험은프레스 금형 품질관리를 위해 측정기 사용과 유지 관리를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수사상 공구 준비, 가공부부품 모서리 면취, 와이어, 방전가공면 다듬질 작업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가를 보는 시험이죠. 물론 이외에도 설계의 대한 기본 지식, 제품도, 금형 구조, 부품도 등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고 할 수 있어요.
그럼 실기 시험의 출제 기준 주요 항목은 '프레스 금형 측정기 사용, 사출금형 다듬질, 단순 사출 금형 조립, 사출금형제작 도면 해독, 사출금형 부품가공, 기본 작업(밀링 가공), 탭/ 드릴/ 보링 가공'으로 구분되어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다음으로 실기 시험의 합격률을 보면, 전체 실기 합격률은 90.8%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2년도에는 680명이 응시하여 598명이 합격한 87.9%의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금형기능사 진로 및 전망
마지막으로 해당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한다고 했을 때, 자신의 진로를 어떻게 결정할 수 있는지 살펴보면, 금형제작 업체, 자동화 기계 및 설비 업체, 자동차, 각 종 기구 설계 등 금형 기술을 필요로 하는 업체로 진출이 가능합니다. 냉정하게 금형 기술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인력은 많이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취업에는 유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금형 기술은 현대 산업에서 무척 중요한 산업일 뿐만 아니라 자동화 기계를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금형 기술의 전망은 긍정적이며, 의학 분야에서도 의치, 인공 뼈를 제작하는 분야까지 넓혀가고 있죠.
'자격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가공조립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과목 살펴보자 (0) | 2023.10.18 |
---|---|
기계정비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과목 정보 확인하자 (0) | 2023.10.17 |
금속재료시험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과목 공부 (1) | 2023.10.16 |
금속도장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과목 정보 파악 (0) | 2023.10.16 |
귀금속가공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과목 정보 (1) | 2023.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