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일정 및 정보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국산업인력 공단에서 주관하는 '위험물기능사' 시험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일단 해당 기능사 자격증은 필기시험과 실기 시험으로 구분이 되어 있으며, 이 두 시험에 합격을 해야 최종적으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위험물을 제조하거나 저장, 혹은 보관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으로 일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안전하게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에 업체 입장에서는 해당 자격증 시험에 합격한 인원을 채용하고 싶어 하곤 합니다.
그래서, 앞으로 위험물 분야에 취업을 고려하고 있는 분들께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시험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위험물기능사 필기 시험
먼저 필기 과목은 '화재예방과 소화방법, 위험물의 성질과 취급'으로 구분이 되어 있으며, 기능사 시험이기 때문에 과락 없이 합산 평균 60점만 넘긴다면 필기시험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필기시험을 공부할 때는 일반 화학 과목이 없기 때문에 기출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이 필기시험 합격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는데요.
먼저 화재 예방과 소화방법 과목은 평소 출제가 되는 부분들이 고정되어 있으며, 시험에 출제가 되고 있는 이론과 숫자를 잘 암기한다면 무난하게 점수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험물의 설징과 취급 과목은 냉정하게 공부해야 하는 양이 정말 많다고 할 수 있으며, 위치 구조설비, 소화경비 설비 부분을 수험생분들이 많이 어려워하곤 합니다.
게다가 특수 인화물, 알코올류, 석유류 등에 대해 각각 어떤 것이 함유되어 있고, 지정 수량은 얼마인지 등을 암기 해야 하는 과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험물기능사 필기 시험 합격률
연도 | 응시자 | 합격자 | 합격률 |
2022년 | 14,100 | 5,932 | 42.1% |
2021년 | 16,322 | 7,150 | 43.8% |
2020년 | 13,464 | 6,156 | 48.0% |
2019년 | 19,498 | 8,433 | 43.3% |
위험물기능사 실기 시험
다음으로 실기 시험 과목은 위험물 취급 실무이며, 약 1시간 30분 동안 필답형으로 진행이 되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기 시험은 위험물 성상에 대한 기초 및 기능, 저장, 취급, 운반 및 운송에 대한 기준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런데, 필답형으로 진행이 된다고 해서 쉽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지만, 계산형 문제도 출제가 되면서 풀이 과정을 필요로 하니 참고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실기 시험의 단골 문제인 화학 반응식, 이상기체상태방정식이 출제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위험물기능사 실기 시험 합격률
연도 | 응시자 | 합격자 | 합격률 |
2022년 | 8,238 | 3,415 | 41.5% |
2021년 | 9,188 | 4,070 | 44.3% |
2020년 | 9,140 | 3,482 | 38.1% |
2019년 | 12,342 | 4,656 | 37.7% |
'자격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산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정보 알아보기 (0) | 2023.11.05 |
---|---|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실기 자격증 시험 정보 (0) | 2023.11.04 |
은행텔러 자격증 시험 정보 확인 (0) | 2023.11.02 |
도시농업 관리사 자격증 시험 정보 알아보자 (1) | 2023.11.01 |
노인심리 상담사 1급 자격증 시험 정보 (0) | 2023.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