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정보 알아보기
반갑습니다. 오늘 저랑 같이 알아볼 자격증은 '축산기능사' 시험이며, 이 자격증은 축산물을 생산하고, 공급할 수 있는 축산 기술을 갖춘 전문 기술 인력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국가자격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축산업에 종사하고 싶거나, 이직, 혹은 조금 더 전문적으로 관련 업무에 활용하고 싶어 하시는 분들께서 해당 자격증 시험을 대비하시며, 매년 응시자가 증가하고 있는 자격증 시험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해당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중에서는 축산 기술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경력을 통해 갖춘 분들도 있지만, 처음 공부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떻게 시험을 공부하면 좋을지 감을 잡기 어려울 수 있어요.
그래서, 본 포스팅에서는 축산기능사 자격증 시험이 어떤 식으로 진행이되고, 합격률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축산기능사 필기 시험 과목 및 합격률
축산기능사 필기 시험 과목을 확인해 보면, '축산개론, 사료작물, 축산경영'으로 구분이 되어 있으며, 객관식으로 4지 택일형 방식으로 60문항이 출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때 필기 시험을 처음 공부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공부를 하면 좋을지 고민이 될 수 있는데, 필기시험은 문제 은행식으로 출제가 되고 있다고 하니, 기출 문제를 많이 풀어보고, 분석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론 필기 시험은 축산에 대한 기술이론, 지식을 바탕으로 문제가 출제가 되기도 하지만, 문제 은행식으로 출제가 되니,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이 가장 큰 도움이 되는 것이죠.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무작정 문제를 암기하면 안 되고, 어느 정도 이론에 대한 지식을 알고 있어야 한다는 점 꼭 기억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연도 | 필기 응시자 | 필기 합격자 | 필기 합격률 |
2022년 | 626 | 323 | 51.6% |
2021년 | 609 | 320 | 52.5% |
2020년 | 399 | 231 | 57.9% |
2019년 | 341 | 203 | 59.5% |
그리고 위 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필기 시험 합격률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과반수를 조금 넘긴 합격률을 기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점은 아무리 문제 은행식으로 출제가 되고, 기출문제를 풀어도 불합격하는 인원이 절반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필기시험을 공부할 때는 축산에 대한 이론을 정확하게 공부하고, 기출문제를 풀어야 조금 더 합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죠.
축산기능사 실기 시험 과목 및 합격률
축산기능사 실기 시험 과목은 '가축관리 및 사양'으로 약 3시간 동안 작업형으로 진행이 되는 시험입니다. 그리고 실기 시험의 합격 기준은 100점을 만점으로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기 시험은 시험 감독 위원의 지시에 따라 '생산물의 등급 구분, 생산물의 신선도 판정, 도면의 정자 수 측정, 사료 감별'을 수행하고 답안을 작성해야 하죠.
연도 | 실기 응시자 | 실기 합격자 | 실기 합격률 |
2022년 | 870 | 833 | 95.7% |
2021년 | 885 | 840 | 95.1% |
2020년 | 749 | 696 | 92.9% |
2019년 | 816 | 741 | 90.8% |
다음으로 실기 시험의 합격률을 분석해보면, 대부분 90% 이상의 합격률을 기록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실기 시험에서 실수를 하지 않고, 공부한 내용대로 하게 된다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죠.
축산기능사 시험 _ 글을 마치며
지금까지 축산기능사 자격증 시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보고, 분석을 해봤는데요, 앞으로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께서 시험이 어떻게 진행이 되고, 난이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준비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정리했으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해당 자격증을 취득하게 된다면, 축산관련 협동조합이나, 유가공 회사, 사료 회사 등에 취업이 가능하며, 축산 관련 공무원으로 진로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점점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자격증 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과거보다 현재에 축산 소비자가 늘게 되면서, 안정적이고 신선한 축산을 공급받고 싶어 하는 분들이 늘면서 축산 분야의 전망도 밝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는 점 기억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자격증 관련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자격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정보 (1) | 2023.11.06 |
---|---|
종자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정보 확인하자 (0) | 2023.11.06 |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실기 자격증 시험 정보 (0) | 2023.11.04 |
위험물기능사 필기 실기 시험 및 합격률 정보 (0) | 2023.11.03 |
은행텔러 자격증 시험 정보 확인 (0) | 2023.11.02 |